ㄴ산업안전보건법령/4. 유해ㆍ위험 방지 조치5 [기출문제19-3] 제57조(산업재해 발생 은폐 금지 및 보고 등) 3. 사업주 갑(甲)의 사업장에 산업재해가 발생하였다. 이 경우 갑(甲)이 기록ㆍ보존해야 할 사항으로 산업안전보건법령상 명시되지 않은 것은? (다만, 법령에 따른 산업재해조사표 사본을 보존하거나 요양신청서의 사본에 재해 재발방지 계획을 첨부하여 보존한 경우에 해당하지 아니 한다.) 참고 ① 사업장의 개요 ② 근로자의 인적 사항 및 재산 보유현황 ③ 재해 발생의 일시 및 장소 ④ 재해 발생의 원인 및 과정 ⑤ 재해 재발방지 계획 ■ 제57조(산업재해 발생 은폐 금지 및 보고 등) ① 사업주는 산업재해가 발생하였을 때에는 그 발생 사실을 은폐해서는 아니 된다. ② 사업주는 고용노동부령으로 정하는 바에 따라 산업재해의 발생 원인 등을 기록하여 보존하여야 한다. ③ 사업주는 고용노동부령으로 정하는 산업재해에 대.. 2023. 5. 31. [기출문제19-1] 제34조 법령 요지 등의 게시 등 1. 산업안전보건법령상 법령 요지의 게시 등과 안전ㆍ보건표지의 부착 등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참고 ① 근로자대표는 작업환경측정의 결과를 통지할 것을 사업주에게 요청할 수 있고, 사업주는 이에 성실히 응하여야 한다. ② 야간에 필요한 안전ㆍ보건표지는 야광물질을 사용하는 등 쉽게 알아볼 수 있도록 제작하여야 한다. ③ 안전ㆍ보건표지의 표시를 명백히 하기 위하여 필요한 경우에는 안전ㆍ보건표지의 주위에 표시사항을 글자로 덧붙여 적을 수 있으며, 이 경우 글자는 노란색 바탕에 검은색 한글고딕체로 표기하여야 한다. ④ 안전ㆍ보건표지의 성질상 설치하거나 부착하는 것이 곤란한 경우에는 해당 물체에 직접 도장(塗裝)할 수 있다. ⑤ 사업주는 산업안전보건법과 산업안전보건법에 따른 명령의 요지를 상시 각 작업장.. 2023. 5. 30. [기출문제20-3] 안전보건표지 2020년 제10회 [산업안전보건법령] 3번 문제 3. 산업안전보건법령상 안전보건표지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참고 ① 안전보건표지의 표시를 명확히 하기 위하여 필요한 경우에는 그 안전보건표지의 주위에 표시사항을 흰색 바탕에 검은색 한글고딕체로 표기한 글자로 덧붙여 적을 수 있다. ② 사업주는 사업장에 설치한 안전보건표지의 색도기준이 유지되도록 관리해야 한다. ③ 안전보건표지의 성질상 부착하는 것이 곤란한 경우에도 해당 물체에 직접 도색할 수 없다. ④ 안전보건표지 속의 그림의 크기는 안전보건표지 전체 규격의 30 퍼센트 이상이 되어야 한다. ⑤ 안전보건표지는 쉽게 변형되지 않는 재료로 제작해야 한다. 법-37 시행규칙-38,39,40 ⯀제37조(안전보건표지의 설치ㆍ부착) ① 사업주는 유해하거나.. 2023. 4. 25. [기출문제21/22] 공정안전보고서(사업주) 2021년 제11회 [산업안전보건법령] 21번 문제 22. 산업안전보건법령상 사업주가 작성하여야 할 공정안전보고서에 포함되어야 할 내용으로 옳지 않은 것은? 참고 ① 공정안전자료 ② 산업재해 예방에 관한 기본계획 ③ 안전운전계획 ④ 비상조치계획 ⑤ 공정위험성 평가서 영-44 제44조(공정안전보고서의 작성ㆍ제출) ① 사업주는 사업장에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유해하거나 위험한 설비가 있는 경우 그 설비로부터의 위험물질 누출, 화재 및 폭발 등으로 인하여 사업장 내의 근로자에게 즉시 피해를 주거나 사업장 인근 지역에 피해를 줄 수 있는 사고로서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사고(이하 “중대산업사고”라 한다)를 예방하기 위하여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바에 따라 공정안전보고서를 작성하고 고용노동부장관에게 제출하여 심사를 받아야 .. 2023. 4. 19. [기출문제] 도급승인 대상 작업 2022년 제12회 [산업안전보건법령] 16번 문제 16. 산업안전보건법령상 도급승인 대상 작업에 관한 것으로 “급성 독성, 피부부식성 등이 있는 물질의 취급 등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작업”에 관한 내용이다. ( )에 들어갈 내용을 순서대로 옳게 나열한 것은? 참고 ○ 중량비율 ( ㄱ )퍼센트 이상의 황산, 불화수소, 질산 또는 염화수소를 취급하는 설비를 개조ㆍ분해ㆍ해체ㆍ철거하는 작업 또는 해당 설비의 내부에서 이루어지는 작업. 다만, 도급인이 해당 화학물질을 모두 제거한 후 증명자료를 첨부하여 ( ㄴ )에게 신고한 경우는 제외한다. ○ 그 밖에 「산업재해보상보험법」 제8조제1항에 따른 ( ㄷ )의 심의를 거쳐 고용노동부장관이 정하는 작업 영-51 ① ㄱ: 1, ㄴ: 고용노동부장관, ㄷ: 산업재해보상보험및.. 2023. 3. 16. 이전 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