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ㄴ산업안전보건법령/1.총칙

(제1조, 2조) 목적과 정의

by 히안하게 2023. 3. 6.

제1장 총칙

목차 ▼

더보기

             제1조(목적)
             제2조(정의)
             제3조(적용 범위)
             제4조(정부의 책무)
             제4조의2(지방자치단체의 책무)
             제4조의3(지방자치단체의 산업재해 예방 활동 등)
             제5조(사업주 등의 의무)
             제6조(근로자의 의무)
             제7조(산업재해 예방에 관한 기본계획의 수립ㆍ공표)
             제8조(협조 요청 등)
             제9조(산업재해 예방 통합정보시스템 구축ㆍ운영 등)
             제10조(산업재해 발생건수 등의 공표)
             제11조(산업재해 예방시설의 설치ㆍ운영)
             제12조(산업재해 예방의 재원)
             제13조(기술 또는 작업환경에 관한 표준)

 

 

제1조(목적) 이 법은 

산업 안전 및 보건에 관한 기준을 확립하고 그 책임의 소재를 명확하게 하여
산업재해를 예방하고 쾌적한 작업환경을 조성함으로써 
노무를 제공하는 사람의 안전 및 보건을 유지ㆍ증진함을 목적으로 한다.

<개정 2020. 5. 26.>

 

 


 

 

 

2(정의)

이 법에서 사용하는 용어의 뜻은 다음과 같다. <개정 2020. 5. 26.>

 

1 산업재해  산업재해란 노무를 제공하는 사람이 업무에 관계되는 건설물ㆍ설비ㆍ원재료ㆍ가스ㆍ증기ㆍ분진 등에 의하거나 작업 또는 그 밖의 업무로 인하여 사망 또는 부상하거나 질병에 걸리는 것을 말한다.
2 중대재해  “중대재해란 산업재해 중 사망 등 재해 정도가 심하거나 다수의 재해자가 발생한 경우로서 고용노동부령으로 정하는 재해를 말한다.
(중대재해의 범위)
“고용노동부령으로 정하는 재해”란 다음 각 호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재해를 말한다.
  1. 사망자가 1명 이상 발생한 재해
  2. 3개월 이상의 요양이 필요한 부상자가 동시에 2명 이상 발생한 재해
  3. 부상자 또는 직업성 질병자가 동시에 10명 이상 발생한 재해
3 근로자  “근로자” 「근로기준법 제2조제1항제1호에 따른 근로자를 말한다.
4 사업주  “사업주”란 근로자를 사용하여 사업을 하는 자를 말한다.
5 근로자대표 근로자대표란 근로자의 과반수로 조직된 노동조합이 있는 경우에는 그 노동조합을, 근로자의 과반수로 조직된 노동조합이 없는 경우에는 근로자의 과반수를 대표하는 자를 말한다.
6 도급  “도급”이란 명칭에 관계없이 물건의 제조ㆍ건설ㆍ수리 또는 서비스의 제공, 그 밖의 업무를 타인에게 맡기는 계약을 말한다.
7 도급인  “도급인”이란 물건의 제조ㆍ건설ㆍ수리 또는 서비스의 제공, 그 밖의 업무를 도급하는 사업주를 말한다. 다만, 건설공사발주자는 제외한다.
8 수급인  수급인”이란 도급인으로부터 물건의 제조ㆍ건설ㆍ수리 또는 서비스의 제공, 그 밖의 업무를 도급받은 사업주를 말한다.
9 관계수급인 관계수급인이란 도급이 여러 단계에 걸쳐 체결된 경우에 각 단계별로 도급받은 사업주 전부를 말한다.
10 건설공사발주자  건설공사발주자란 건설공사를 도급하는 자로서 건설공사의 시공을 주도하여 총괄ㆍ관리하지 아니하는 자를 말한다. 다만, 도급받은 건설공사를 다시 도급하는 자는 제외한다.
11 건설공사  “건설공사란 다음 각 목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공사를 말한다.
   . 건설산업기본법 2조제4호에 따른 건설공사
   나. 전기공사업법 2조제1호에 따른 전기공사
   다. 정보통신공사업법 2조제2호에 따른 정보통신공사
   라. 소방시설공사업법에 따른 소방시설공사
   마. 문화재수리 등에 관한 법률에 따른 문화재수리공사
12 안전보건진단  “안전보건진단”이란 산업재해를 예방하기 위하여 잠재적 위험성을 발견하고 그 개선대책을 수립할 목적으로 조사ㆍ평가하는 것을 말한다.
13 작업환경측정 작업환경측정이란 작업환경 실태를 파악하기 위하여 해당 근로자 또는 작업장에 대하여 사업주가 유해인자에 대한 측정계획을 수립한 후 시료(試料)를 채취하고 분석ㆍ평가하는 것을 말한다

 

 


 

 

 

[산업안전보건법 시행령]  [산업안전보건법 시행규칙] 
제1조(목적) 이 영은 「산업안전보건법」에서 위임된 사항과 그 시행에 필요한 사항을 규정함을 목적으로 한다. 제1조(목적) 이 규칙은 「산업안전보건법」 및 같은 법 시행령에서 위임된 사항과 그 시행에 필요한 사항을 규정함을 목적으로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