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121

[기출문제] 유해성ㆍ위험성 조사 제외 화학물질 2021년 제11회 [산업안전보건법령] 15번 문제 15. 산업안전보건법령상 유해성․위험성 조사 제외 화학물질에 해당하는 것을 모두 고른 것은? 참고 ㄱ. 원소 ㄴ. 천연으로 산출되는 화학물질 ㄷ. 「총포ㆍ도검ㆍ화약류 등의 안전관리에 관한 법률」에 따른 화약류 ㄹ. 「생활화학제품 및 살생물제의 안전관리에 관한 법률」에 따른 살생물물질 및 살생물제품 ㅁ. 「폐기물관리법」에 따른 폐기물 영-85조 ① ㄴ ② ㄱ, ㅁ ③ ㄷ, ㄹ, ㅁ ④ ㄱ, ㄴ, ㄷ, ㄹ ⑤ ㄱ, ㄴ, ㄷ, ㄹ, ㅁ 유해성ㆍ위험성 조사 제외 화학물질 물질안전보건자료의 작성ㆍ제출 제외 대상 화학물질 등 「건강기능식품에 관한 법률」에 따른 건강기능식품✚ 「비료관리법」 에 따른 비료✚ 「사료관리법」 에 따른 사료✚ 「식품위생법」 에 따른 식품 .. 2023. 4. 17.
[기출문제] 안전 및 보건에 관한 협의체 2021년 제11회 [산업안전보건법령] 14번 문제 14. 산업안전보건법령상 도급인 및 그의 수급인 전원으로 구성된 안전 및 보건에 관한 협의체에서 협의해야 하는 사항이 아닌 것은? 참고 ① 작업의 시작 시간 ② 작업의 종료 시간 ③ 작업 또는 작업장 간의 연락방법 ④ 재해발생 위험이 있는 경우 대피방법 ⑤ 사업주와 수급인 또는 수급인 상호 간의 연락 방법 및 작업공정의 조정 법-75-⑤ 규칙-93 ■ 제64조(도급에 따른 산업재해 예방조치) ① 도급인은 관계수급인 근로자가 도급인의 사업장에서 작업을 하는 경우 다음 각 호의 사항을 이행하여야 한다. 1. 도급인과 수급인을 구성원으로 하는 안전 및 보건에 관한 협의체의 구성 및 운영 2. 작업장 순회점검 3. 관계수급인이 근로자에게 하는 안전보건교육을 위.. 2023. 4. 16.
[기출문제] 안전검사대상 기계등 2021년 제11회 [산업안전보건법령] 13번 문제 13. 산업안전보건법령상 유해하거나 위험한 기계ㆍ기구ㆍ설비로서 안전검사대상 기계등에 해당하는 것은? 참고 ① 정격 하중 1톤인 크레인 ② 이동식 국소 배기장치 ③ 밀폐형 구조의 롤러기 ④ 가정용 원심기 ⑤ 산업용 로봇 영-78조 ※ 안전검사대상기계등 : 유해하거나 위험한 기계ㆍ기구ㆍ설비로서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것 ⁂ 시행령제78조(안전검사대상기계등) ① 법 제93조제1항 전단에서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것”이란 다음 각 호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것을 말한다. 프레스 전단기 크레인 (정격 하중이 2톤 미만인 것은 제외) 리프트 압력용기 곤돌라 국소 배기장치(이동식은 제외) 산업용 원심기 롤러기 (밀폐형 구조는 제외) 사출성형기 [형체결력(型締結力) 29.. 2023. 4. 16.
[별표 4] 안전관리자의 자격 ■ 산업안전보건법 시행령 [별표 4] 안전관리자는 다음 각 호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사람으로 한다. 1. 법 제143조제1항에 따른 산업안전지도사 자격을 가진 사람 2. 「국가기술자격법」에 따른 산업안전산업기사 이상의 자격을 취득한 사람 3. 「국가기술자격법」에 따른 건설안전산업기사 이상의 자격을 취득한 사람 4. 「고등교육법」에 따른 4년제 대학 이상의 학교에서 산업안전 관련 학위를 취득한 사람 또는 이와 같은 수준 이상의 학력을 가진 사람 5. 「고등교육법」에 따른 전문대학 또는 이와 같은 수준 이상의 학교에서 산업안전 관련 학위를 취득한 사람 6. 「고등교육법」에 따른 이공계 전문대학 또는 이와 같은 수준 이상의 학교에서 학위를 취득하고, 해당 사업의 관리감독자로서의 업무(건설업의 경우는 시공실무.. 2023. 4. 14.
[기출문제] 근로자 정기교육 2021년 제11회 [산업안전보건법령] 12번 문제 12. 산업안전보건법령상 안전보건교육 교육대상별 교육내용 중 근로자 정기교육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참고 ① 관리감독자의 역할과 임무에 관한 사항 ② 산업보건 및 직업병 예방에 관한 사항 ③ 산업안전보건법령 및 산업재해보상보험 제도에 관한 사항 ④ 직무스트레스 예방 및 관리에 관한 사항 ⑤ 산업안전 및 사고 예방에 관한 사항 규칙 별표-5 시행규칙 [별표 5] 안전보건교육 교육대상별 교육내용 (중 근로자/관리감독자 교육내용 비교) 가. 근로자 정기교육 나. 관리감독자 정기교육 공통 ✚ 산업안전 및 사고 예방에 관한 사항 ⁂ ✚ 산업보건 및 직업병 예방에 관한 사항 ⁂ ✚ 산업안전보건법령 및 산업재해보상보험 제도에 관한 사항 ⁂ ✚ 직무스트레스 예방 및 .. 2023. 4. 12.
[기출문제] 물질안전보건자료의 작성․제출 제외 대상 화학물질등 2021년 제11회 [산업안전보건법령] 11번 문제 11. 산업안전보건법령상 물질안전보건자료의 작성․제출 제외 대상 화학물질 등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참고 ① 「마약류 관리에 관한 법률」에 따른 마약 및 향정신성의약품 ② 「사료관리법」에 따른 사료 ③ 「생활주변방사선 안전관리법」에 따른 원료물질 ④ 「약사법」에 따른 의약품 및 의약외품 ⑤ 「방위사업법」에 따른 군수품 영-86 ✚ ✙ 시행령 제86조(물질안전보건자료의 작성ㆍ제출 제외 대상 화학물질 등) 1. 「건강기능식품에 관한 법률」에 따른 건강기능식품 ✚ 2. 「농약관리법」에 따른 농약✚ 3. 「마약류 관리에 관한 법률」에 따른 마약✚ 및 향정신성의약품✙ 4. 「비료관리법」에 따른 비료✚ 5. 「사료관리법」에 따른 사료✚ 6. 「생활주변방사선 안전관.. 2023. 4. 12.
[기출문제] ※자율안전확인대상기계 등 2021년 제11회 [산업안전보건법령] 10번 문제 10. 산업안전보건법령상 안전인증대상기계등이 아닌 유해ㆍ위험기계등으로서 자율안전확인대상기계등에 해당하는 것이 아닌 것은? 참고 ① 휴대형이 아닌 연삭기(硏削機) ② 파쇄기 또는 분쇄기 ③ 용접용 보안면 ④ 자동차정비용 리프트 ⑤ 식품가공용 제면기 영-77 [시행령] 제77조(자율안전확인대상기계등) ○ 자율안전확인대상기계 : 안전인증대상기계등이 아닌 유해ㆍ위험기계등으로서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것 [시행령 제77조 (자율안전확인대상기계등) 참고] ▼ 기계 또는 설비 가. 연삭기(硏削機) 또는 연마기 (휴대형은 제외) 나. 산업용 로봇 다. 혼합기 라. 파쇄기 또는 분쇄기 마. 식품가공용 기계(파쇄ㆍ절단ㆍ혼합ㆍ제면기만 해당한다) 바. 컨베이어 사. 자동차정비용.. 2023. 4. 9.
[기출문제] 안전보건관리책임자에 대한 교육시간 2021년 제11회 [산업안전보건법령] 9번 문제 9. 산업안전보건법령상 안전보건관리책임자에 대한 신규교육 및 보수교육의 교육시간이 옳게 연결된 것은? (단, 다른 면제조건이나 감면조건을 고려하지 않음) 참고 ① 신규교육 : 6시간 이상, 보수교육 : 6시간 이상 ② 신규교육 : 10시간 이상, 보수교육 : 6시간 이상 ③ 신규교육 : 10시간 이상, 보수교육 : 10시간 이상 ④ 신규교육 : 24시간 이상, 보수교육 : 10시간 이상 ⑤ 신규교육 : 34시간 이상, 보수교육 : 24시간 이상 규칙-별표4 ■ 산업안전보건법 시행규칙 [별표 4] 안전보건교육 교육과정별 교육시간(제26조제1항 등 관련) 2. 안전보건관리책임자 등에 대한 교육(제29조제2항 관련) 교육대상 교육시간 신규교육 보수교육 가. 안.. 2023. 4. 9.
[기출문제] 자율검사프로그램에 따른 안전검사 검사원의 자격 2021년 제11회 [산업안전보건법령] 8번 문제 8. 산업안전보건법령상 자율검사프로그램에 따른 안전검사를 할 수 있는 검사원의 자격을 갖추지 못한 사람은? 참고 ① 「국가기술자격법」에 따른 기계ㆍ전기ㆍ전자ㆍ화공 또는 산업안전 분야에서 기사 이상의 자격을 취득한 후 해당 분야의 실무경력이 4년인 사람 ② 「국가기술자격법」에 따른 기계ㆍ전기ㆍ전자ㆍ화공 또는 산업안전 분야에서 산업기사 이상의 자격을 취득한 후 해당 분야의 실무경력이 6년인 사람 ③ 「초ㆍ중등교육법」에 따른 고등학교ㆍ고등기술학교에서 기계ㆍ전기 또는 전자ㆍ화공 관련 학과를 졸업한 후 해당 분야의 실무경력이 6년인 사람 ④ 「고등교육법」에 따른 학교 중 수업연한이 4년인 학교에서 기계ㆍ전기ㆍ전자ㆍ화공 또는 산업안전 분야의 관련 학과를 졸업한 후 .. 2023. 4. 8.
[기출문제] 산업안전보건법령상 용어 2021년 제11회 [산업안전보건법령] 7번 문제 7. 산업안전보건법령상 용어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참고 ① 건설공사발주자는 도급인에 해당한다. ② 근로자의 과반수로 조직된 노동조합이 없는 경우에는 근로자의 과반수를 대표하는 자를 근로자대표로 한다. ③ 노무를 제공하는 사람이 업무에 관계되는 설비에 의하여 질병에 걸리는 것은 산업재해에 해당한다. ④ 명칭에 관계없이 물건의 제조ㆍ건설ㆍ수리 또는 서비스의 제공, 그 밖의 업무를 타인에게 맡기는 계약은 도급이다. ⑤ 산업재해 중 3개월 이상의 요양이 필요한 부상자가 동시에 2명 이상 발생한 재해는 중대재해에 해당한다. 법-2 ⯀제2조(정의) 1. 산업재해 노무를 제공하는 사람이 업무에 관계되는 건설물ㆍ설비ㆍ원재료ㆍ가스ㆍ증기ㆍ분진 등에 의하거나 작.. 2023. 4. 8.